ip addr: 인터페이스(랜카드의 이름)에 할당된 IP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
랜카드는 4개가 들어가있음 lo: LOOPBACK UP 자신의 시스템을 뜻함(모든 컴퓨터에 들어가 있음). localhost(127.0.0.1) 개발시 자신의 시스템에서 서버를 작동해서 테스트 할 때 사용 ens160(시스템 마다 이름이 다름): 인터넷망으로 나가는 랜카드(실제 사용할 랜카드) - UP 상태면 활성화 (eth 0, ...) IP: 192.168.75.131/24 <- CIDR 표기법: IP/sm 네트워크 주소가 24비트이다 75까지 Network id 모든 망안에는 Network id가 동일 inet 아이피 옆/ 숫자 <- 서브넷마스크 sm: 255.255.255.0 11111111.11111111.11111111.00000000 - 32비트 <- 255.255.255.0 (2진법 표기) 1이 들어간 곳까지 Network ID (10진법 표기) calc: 실행 - 계산기 출력
IP Address: Network ID + Host ID
(우편번호: 동) + (번지)
clear: 화면을 깨끗하게 지움 cls: Windows 명령 프롬프트
nmtui: Linux에서 TCP/IP(IP, Subnet Mask, Default Gateway(Router), DNS) 세팅
CentOS에 고정 IP Setting: 192.168.75.10 IP: 192.168.75.10/24 s/m: 255.255.255.0 Gateway: 192.168.75.2 dns: 192.168.75.2 -> 연결 편집 -> 고정 IP 세팅 -> 연결 활성화 -> 비활성화 후 다시 활성화 -> ok
SSH Server: 서버에서 서비스가 작동되어 있어야 함.
CentOS는 설치 시 SSH Server 작동되고 있음.
Ubuntu Linux: Local VM에서는 SSH Server 설치가 필요 Cloud의 AWS의 VM은 SSH Server가 설치되어 있음
systemctl status sshd: ssh server가 작동되는지 확인하는 명령어, d(demon: 서비스) *enabled - 컴퓨터 부팅할 때 자동으로 서비스가 시작
원격 서버에 접속: 푸티(Telnet, SSH)
시스템 종료 명령어: sudo shutdown -h now sudo init 0 sudo halt
시스템 리부팅 명령어: sudo shutdown -r now sudo init 6 sudo reboot
프롬프트: 로그인 계정, 로그인 서버,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기본적으로 출력하고 명령어를 대기 [로그인한 계정명@서버명 현재 위치한 폴더명] ~: 현재 로그인한 계정의 홈폴더(그 계정에게만 적용되는 설정이 저장된 폴더)
pwd: 현재 내가 위치한 폴더의 절대 경로를 출력 / : root(뿌리), 모든 폴더의 최상위 경로 (Linux) c:\: (Window)
ls: 폴더 안의 내용을 출력 ls -a: 숨어있는 폴더까지 출력 .폴더명 : 숨어있는 폴더 .파일명 : 숨어있는 파일 ls -l : 폴더나 파일의 자세한 정보를 출력 생성 날짜, 소유주, 그룹, 권한 정보, 용량 etc
. : 현재 폴더
.. : 상위 폴더
[Ubuntu]
바탕화면 우클릭 -> 터미널 열기
Ubuntu Linux Server 고정 IP 할당: nmtui
TCP/IP
- IP: 192.168.75.20/24
- s/m: 255.255.255.0
- Gateway: 192.168.75.2
- DNS : 192.168.75.2
-> 연결 편집 -> 유선 연결 1 편집 -> IPv4 설정 수동 후 고정 IP 세팅 -> 확인 -> 연결 활성화
-> 비활성화 후 다시 활성화
SSH Server 설치가 필요함: Ubuntu (Local VM)
ssh가 설치되었는지 확인 systemctl status ssh
SSH Server 설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