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행: windows + R ncpa.cpl: windows OS에서 네트워크 창 cmd: 명령프롬프트
ip ipconfig /all: TCP/IP 구성값을 확인하는 명령어
TCP/IP: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(통신규약) -- 두 시스템이 통신하기 위해서는 TCP/IP 구성값(IP. S/M. G/W, DNS)이 할당 되어야 함. -- TCP/IP 구성값: DHCP 서버에서 할당(유동 IP), <- Client OS : 컴퓨터 부팅 시 DHCP 서버에서 새로운 IP를 받아온다. : IP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. : 서비스를 구현할 수 없다. 수동으로 세팅(고정 IP) <- Server OS : Server는 고정 IP가 필요하다. :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IP가 고정되어야 한다. IP Address(IP): Subnet Mask(S/M): GateWay(G/W): DNS:
cls: 화면 지우기(Windows 명령프롬프트), clear(Linux) dir: 폴더의 목록 보기 cd c:\
ping 8.8.8.8: 8.8.8.8(google의 DNS 서버 IP) 인터넷과 통신이 잘 되는지 확인 자신의 시스템에서 인터넷 어딘가에 존재하는 구글 DNS 서버로 패킷을 4번 보내고 응답을 받아온다.
ping 8.8.8.8 -t: 무한정 패킷을 해당 서버로 전송한다.
mkdir 폴더명: 폴더 생성 mkdir tcp_ip: tcp_ip 폴더를 생성 cd tcp_ip: tcp_ip 폴더로 이동 명령어 . : 현재 폴더 .. : 상위 폴더 ../.. : 상위 폴더의 상위 폴더
상대경로: 현재 폴더를 기준으로 작동됨
절대경로: C:\\\\로 시작
리다이렉트: 출력 방향을 지정하는 명령어
: 덮어쓰기
: 이어쓰기 c:\tcp_ip>ipconfig /all >tcp_ip.txt - 화면에 출력하지말고 txt로 출력해라 c:\tcp_ip>ping 8.8.8.8 > tcp_ip.txt - '' 기존 내용이 없어짐
Host OS: 자신의 물리적인 시스템에 직접 설치된 OS Windows 10 Pro Guest OS(Virtual Mechine): 가상화된 환경에 설치된 OS Windows Server, Linux
Windows 방화벽
ICMP v4 <- ping에 대한 응답 처리 프로토콜
인바운드 규칙 -> 새 규칙 -> 사용자 지정 -> 모든 프로그램
-> 프로토콜 종류 ICMPv4(핑을 처리해주는 프로토콜, 핑 패킷을 보냈을 때 응답을 돌려줌)
-> ICMP 사용자 지정 -> 특정 ICMP 종류 -> 반향 요청 -> 다음 -> 다음 -> 다음
-> Ping -> 종료
tracert www,.kbs.co.kr: 자신의 시스템에서 kbs 웹서버까지 라우터(팅) 경로 출력